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소상공인 배달·택배비 최대 30만 원! 신청부터 지급까지 총정리

by 아트클레어 2025. 7. 1.

    [ 목차 ]

고물가·고정비 시대,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우다
2025년 들어 급등한 물류비는 소상공인에게 고정비 부담으로 직결되고 있습니다. 특히 배달·택배 시장 종사자는 매출 대비 수익률 압박이 큰 상황입니다. 이런 현실을 반영해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‘소상공인 배달·택배비 지원사업’을 시행하고 있으며, 5월 19일 기준 연매출 기준을 대폭 상향하는 수정공고를 발표했습니다.


본 포스팅에서는 지원 목적, 대상, 신청 절차, 지급 방식 등을 심층 분석해드리겠습니다.

2025년 소상공인 배달·택배비 최대 30만 원! 신청부터 지급까지 총정리

 

1. 지원 목적과 개요 – 왜 지금 이 사업인가?


배달·택배 물동량은 코로나 이후 급증했지만, 비용 부담은 소상공인에게 고스란히 짐이 되었습니다. 중기부는 이를 해소하고자 2025년 한시적으로 배달·택배비를 실질적으로 지원하며, 고정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정책입니다.

① 신속지급(2월 17일~), ② 확인지급(4월 21일~), ③ 수정공고(5월 19일~) 의 세 단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

 

 

2. 지원 대상 기준 –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나?


✔ 신청 자격
- 연 매출액 3억 원 이하의 개인 또는 법인 소상공인

- 배달·택배 실적이 있는 자(플랫폼 이용 또는 직접 배송)

-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업종

수정공고 전 기준은 연매출 1억 400만 원 이하였으나, 5월 19일자로 연매출 기준을 3억 원 이하로 상향했습니다.

 

✔ 지원 금액
- 실제 배달·택배비 실적에 따라 최대 30만 원까지

- 유형에 따라 지급 방식이 구분됨

 

 

 

3. 지급 방식 – 신속지급 vs 확인지급


▶ 신속지급 (2025년 2월 17일 시작)
- 8개 주요 배달 플랫폼(배달의민족, 요기요 등)의 실적 데이터를 바탕으로

- 증빙 없이 지급

- 대상 약 13만 명 예상, 실제 3만 명에게 약 77억 원 지급됨

▶ 확인지급 (2025년 4월 21일 시작)
- 위 신속지급 대상이 아닌 사용자 중

- 모든 플랫폼, 택배, 퀵서비스, 직접배송 포함

- 증빙자료(전자세금계산서·운송장·사진 등) 제출 필요

- 소상공인이 시스템에 직접 등록하여 진행

 

신속지급과 확인지급을 합쳐 Total 68만 명에게 지원될 전망

4. 신청 절차 & 유의사항


① 신청 기간
- 수정공고 기준: 2025년 5월 19일 ~ 2025년 12월 31일

 

②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 원칙

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.kr 소상공인24

 

 

- 현장 지원도 제공

   / 전국 77곳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에서 현장 접수 지원

 

③ 증빙 자료 (확인지급 대상자에 한함)
- 플랫폼 이용: 전자세금계산서·운송장·정산내역 등

- 직접배송: 차량등록증, 카드단말기 계약서, 배달 완료 문자/사진 등

- 직접배송 단가: 건당 5,000원으로 책정 (30만 원 받으려면 최소 60건 필요)

④ 지급 절차
1. 신청 → 2. 자격 검증 → 3. 알림톡 발송 → 4. 증빙 제출(확인 지급 시) → 5. 최종 지급

 

5. 추가 보완 – 수정공고의 주요 변경 사항


- 연매출 기준 상향: 기존 1억 400만 원에서 3억 원 이하로 확대

- 기존 신청자 중 연매출 기준에서 제외되었던 경우, 별도 추가 신청 없이 지원 대상으로 자동 전환

- 다만 직접배송 등 증빙이 필요한 경우엔 증빙 제출 후 지급

 

 

마무리 –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


본 사업은 배달·택배비의 실질적 부담을 줄이는 효과적인 대책입니다.
📌 연 매출 3억 원 이하이고 배송 실적이 있는 모든 소상공인이라면 신청 대상이 되며, 최대 30만 원 한도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▼ 신청 안내 요약표

 

지금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.kr 또는 소상공인24에 접속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
배달/택배비 지원 신청하기
문제 있으시면 콜센터(1533‑0500) 또는 지역 센터에 문의하시면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.